사회과부도

미국의 건국은 계몽에서 시작되다 미국의 계몽주의

다시읽는사회과부도 2025. 4. 23. 11:10

미국의 처음 다섯 명의 대통령은 차례대로 조지 워싱턴, 존 아담스, 토마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제임스 먼로였습니다. 이들을 버지니아 왕조라 부르기도 하는데 미국 최초의 다섯 명의 대통령 중 네 명이 식민지 버지니아 출신이기 때문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XJo-ukY0qg

 

 

이들이 중심이 된 미국 독립 전쟁은 (1775년 4월 – 1783년 9월) 대륙군으로 조직되고 조지 워싱턴이 지휘하는 미국 애국군이 식민지에서 영국군을 물리치는데 1765년부터 시작된 미국식 계몽주의을 바탕으로 미국 혁명의 마지막 8년을 완성한 전쟁의 최종 승리로 이 전쟁은 북미, 카리브해, 대서양에서 벌어졌고 전쟁의 결과는 대부분의 전장에서 불투명했습니다. 그러나 1781년 요크타운 공성전에서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의 결정적인 승리 후 2년 후인 1783년 조지 3세왕의 대영제국 왕국은 파리 조약에서 종전 협상에서 13개 식민지의 독립을 인정하여 미국은 주권 국가가 되며 이후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을 만드는 기반이 되죠. 당시 미국 계몽주의 사상은 무엇이길래 자신들의 군주인 영국에서 독립을 외쳤을까요? 당시 국제정세와 시대상황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1773년 모호크 인디언으로 변장한 150명의 식민지 주민들이 보스턴의 배에 탑승하여 342개의 차 상자를 도시의 항구에 버렸습니다. 이 사태는 보스턴 티 파티로 알려지는 사건입니다. 사실 1770년 보스턴 대학살 당시 영국 군인은 400여명의 군중을 학살하죠. 당시 차는 지금의 반도체만큼 경제에 중요한데 네덜란드 차가 밀수되는 등 국가별로 예민한 사안이니 지금의 차를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아무튼 사무엘 아담스와 보스턴 통신 위원회가 주도한 시위를 영국 당국은 반역죄로 간주하고 이에 대응하여, 의회는 보스턴 항구를 폐쇄하고 식민지를 영국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두는 용납할 수 없는 법을 통과시켰습니다. Intolerable Acts Beacon Hill 보스턴 구거리 1774년 보스턴 티 파티 Boston Tea Party 이후 영국 의회가 통과시킨 다섯 가지 징벌적 법률의 연속이었습니다. 이 법은 1773년 5월 의회가 제정한 세금 조치인 티 파티에 Tea Act 대한 티 파티 항의에서 반항한 매사추세츠 식민지 주민들을 처벌하는 것이 목표였고 이러한 조치는 1600년대부터 아메리카 대륙에 존재했던 자치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불굴의 영국 국왕과 의회의 손에, 식민지는 자의적인 의회 권한에 완전히 복종하거나 통일된 무장 저항을 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사실 영국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합쳐진지도 70년도 채 안되던 시절이에요. 13개 식민지 중 12개 식민지는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대륙회의 개최를 합의했고, 조지아는 원주민 부족과의 분쟁에 영국의 군사적 지원이 필요해 참여를 거부합니다. 

 

 

미국 연합의 개념은 1774년 전부터 고려됬지만, 항상 대영제국의 권위에 종속은 당연시되고 있었는데 점차 식민지 신문에 실린 논설들에 대부분 익명의 작가들에 의해 모든 미국인을 대표하는 "의회"가 영국 권위와 동등한 지위를 가져야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세금의 인상인하 식민지 민병대를 소집할 권한이 없었던 의회는 제1차 대륙회의를 1774년 9월 필라델피아의 카펜터스 홀에서 엽니다. 버지니아의 조지 워싱턴, 매사추세츠의 존 아담스와 사무엘 아담스, 뉴욕의 존 제이, 펜실베니아의 존 디킨슨, 코네티컷의 로저 셔먼을 포함한 56명의 대의원이 참석합니다. 버지니아의 페이튼 랜돌프는 만장일치로 첫 번째 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랜돌프는 윌리엄 앤 메리 대학 졸업 후 영국 런던의 코트 여관에 미들 템플에서 법학을 공부했지만 버지니아 법무장관, 하원의원으로 이후 대륙의회 의장으로 “자유를 주거나 죽음을 주라”를 인용하며 자유를 외칩니다. 대표단은 매사추세츠 주 밀턴에서 열린 마을 회의 서퍽 결의에서 영국 관리들의 축출, 영국 상품의 무역 금수 조치, 식민지 전역에 민병대의 출범을 요구합니다. 

 

 

1775년 4월, 조지3세는 미국 지도자들을 배신자라고 선언했고 영국령 북미 총사령관이자 매사추세츠 주지사인 토마스 게이지 경은 패트리어츠에 대한 조치를 취하라는 명령을 받고 매사추세츠 주 콩코드에 보관된 민병대 군수를 파괴하고 반란의 주요 선동자로 지목된 존 핸콕과 사무엘 아담스를 체포하기로 결정합니다. 1775년 5월, 렉싱턴과 콩코드에서의 전투 이후 3주 만에, 제2차 대륙회의가 펜실베니아 주 의회에서 열리는데 새로운 인물 중에는 펜실베니아의 벤자민 프랭클린, 매사추세츠의 존 핸콕, 6월에는 버지니아의 토마스 제퍼슨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관심사인 식민지 방어에 13개 식민지 모두의 군대를 이끄는 계획이 논의 되며 사무엘과 존 아담스는 워싱턴을 총사령관으로 지명했고, 1775년 6월, 민병대는 벙커 힐에서 영국군과 충돌했는데, 이는 영국의 승리였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승리였습니다. 워싱턴은 개별 주들이 스스로 전쟁의 조직 및 공급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력한 연방 정부가 시급히 필요하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퀘벡 전투 Bataille de Québec는 1775년 12월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미국 대륙군과 퀘벡 시티의 영국 수비대 사이에 벌어진 전투입니다. 그 전투는 미국인들에게 전쟁의 첫 번째 주요 패배로, 리처드 몽고메리 장군은 사망을, 베네딕트 아놀드는 부상을 입는 등 큰 손실을 입고 다니엘 모건과 400명 이상이 포로로 잡혔습니다. 반대편인 퀘벡 주지사인 가이 칼튼 장군이 이끄는 정규군은 적은 수의 사상자를 겪었습니다. 

 

1776년 7월에는 독립을 선언했고 독립선언문을 발표하죠. 뉴욕의 조지3세 동상은 철거되죠. 1776년 12월 조지 워싱턴이 델라웨어 강을 건너고 트렌턴 전투에서 헤센 군대에 대한 미국의 주요 승리에 미국의 사기는 크게 고양됩니다. 미국과 영국 간의 전투를 주로 끝낸 사라토가 전투와 요크타운 포위전도 전쟁 중 중추적인 사건이었습니다.

 

 

1778년 2월, 영국의 라이벌이었던 루이 16세의 프랑스와 미국은 양국 간의 무역을 규제하는 우호 및 상업 조약에 서명했고, 영국에 대한 방어적 군사 동맹인 동맹 조약을 맺습니다. 1778년에서 1783년 사이에 프랑스와 영국, 거기에 각각의 동맹국과 함께 벌어진 부르봉 전쟁이 벌어집니다. 프랑스와 영국은 영국 해협, 지중해, 인도양, 카리브해에서의 지배를 놓고 싸웠습니다. 스페인의 카를 3세는 일부 프랑스 편을 들었죠.

 

한편 네덜란드도 애국군을 지원하며 영국과 1780년부터 5년간 전쟁에 돌입하며 1782년 미국을 인정한 두번째 유럽국가가 됩니다. 그러나 결국 네덜란드는 패배하죠.

 

1780년 찰스턴 포위전까지, 영국군이 캠든 전투와 길포드 코트 하우스 전투에서 대륙군에게 패배를 가했기 때문에 충성파는 여전히 그들의 궁극적인 승리를 믿을 수 있었습니다. 1781년 말, 요크타운 포위 공격에서 콘월리스 경의 항복 소식이 런던에 이르렀습니다; 북쪽의 의회 지지는 사라지고 그는 다음 해에 사임했습니다. 조지는 퇴위 통지서 초안을 작성했는데, 결코 전달되지 않았습니다. 그는 마침내 미국에서의 패배를 받아들이고 1783년 파리 조약은 전쟁의 공식적인 종식을 표시했습니다. 그러나 프랑스도 1789년 프랑스혁명으로 군주제가 무너지며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는 영국과 1798년에서 1800년 사이에 준전쟁을 벌이게됩니다. 이후 영국은 산업 강국으로 변모하게되죠. 한편, 조지 3세는 영국이 싸워야 할 유럽 전쟁이 있는 동안 미국을 정복하는 것을 포기했습니다. 이후 영국은 1800년 아일랜드 왕국이 연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됩니다.

 

미국의 독립의 결정적인 부분에는 미국 계몽주의가 있습니다. 18세기에서 19세기까지 13개 미국 식민지에서 지적, 철학적 폭발의 시기였으며, 이는 미국 혁명과 미국의 독립으로 이어집니다. 미국의 계몽주의는 17세기와 18세기 유럽의 계몽 시대와 독특한 미국 철학의 영향입니다. 제임스 맥그리거 번즈에 따르면, 미국 계몽주의의 정신은 계몽주의의 이상에 국가와 국민의 삶에 실용적이고 유용한 형태를 결합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비종파적 도덕 철학이 많은 대학 교과서에서 신학을 대체합니다. 일부 대학은 자연 철학(과학), 현대 천문학, 수학을 포함하도록 커리큘럼을 개혁했고, "새로운 모델”의 미국식 대학이 설립됩니다. 정치적으로는, 미국 독립 선언문에 명확하게 표현된 바와 같이, 통치받는 사람들의 합의, 법에 따른 평등, 자유, 공화주의 및 종교적 관용을 강조합니다. 미국 계몽주의자들은 청교도 종교 지도자 조나단 에드워즈, 토마스 클랩, 에즈라 스타일스, 장로교 목사이자 대학 총장인 존 위더스푼, 성공회 도덕 철학자 사무엘 존슨과 윌리엄 스미스를 포함한 대학 총장과 주요 정치 사상가들은 존 아담스, 제임스 매디슨, 토마스 페인, 조지 메이슨, 제임스 윌슨, 에단 앨런, 알렉산더 해밀턴, 그리고 벤자 벤자프랭클린, 토마스 제퍼슨 이었습니다.

 

"미국의 계몽주의"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나고 보니 계몽주의였다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계몽"되는 과정인 18세기에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계몽된 건국의 아버지들, 특히 벤자민 프랭클린, 토마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조지 워싱턴은 소수 교단을 위해 싸웠고 결국 종교의 자유를 획득했습니다. 건국의 아버지들에 따르면, 미국은 모든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평화롭고 상호 이익 속에서 살 수 있는 나라가 되어야 하며 특히 매디슨은 1792년에 "양심은 모든 재산 중 가장 신성한 것이다"라고 말하죠.

 

주로 토마스 제퍼슨이 작성한 미국 독립 선언문은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회의에서 채택되었습니다. 독립 선언문 제2절에는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자명한 진리로 받아들인다. 즉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창조되었고, 창조주는 몇 개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했으며, 그 권리 중에는 생명과 자유와 행복의 추구가 있다.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들은 , 18세기 후반 미국 혁명 지도자들로 구성된 그룹으로, 식민지를 통합하고,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전쟁을 지휘하고, 미합중국을 수립하고, 새로운 국가를 위한 정부 틀을 만들었습니다. 건국의 아버지들은 미국 독립 선언문, 연방 조항, 미국 헌법을 식민지 수도 필라델피아에서 채택되었습니다 물론 그들 중 다수는 그 나라가 건국되기 전과 후에 부유한 노예 소유주였습니다. 1973년, 역사가 Richard B. 모리스는 존 아담스, 벤자민 프랭클린, 알렉산더 해밀턴, 존 제이, 토마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워싱턴 등 그가 리더십, 장수, 정치가의 "삼중 시험"이라고 부르는 것을 바탕으로 일곱 인물을 주요 설립자로 식별했습니다. 건국의 아버지 대부분은 영국 혈통이며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를 포함한 영국 제도의 여러 지역에 걸쳐 가족의 뿌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일부는 식민지 시대 뉴욕(뉴 네덜란드)의 초기 네덜란드 정착민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추적한 반면, 다른 일부는 식민지에 정착하여 프랑스의 종교적 박해를 피한 프랑스 위그노의 후손이었습니다. 이 사람들 각각은 미국 초기 정부에서 추가적인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워싱턴, 아담스, 제퍼슨, 매디슨은 최초의 네 명의 대통령을 역임했습니다; 아담스와 제퍼슨은 미국 최초의 두 부통령이었습니다; "건국의 아버지들"이라는 문구는 1916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미국 상원의원 워렌 G. 하딩이 기조 연설에서 처음 사용했습니다. 하딩은 나중에 1921년 3월 4일 대통령 취임식에서 그 문구를 반복했습니다. 로널드 레이건은 1981년 1월 20일 첫 취임식과 1985년 1월 20일 두 번째 취임식에서 "건국의 아버지"를 언급했습니다. 이렇게 미국은 독립하게되며 더이상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죠.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영국의 주류 출신이며 그들의 자유는 농장주의 자유였고, 1863년 링컨이 나타나기까지 노예는 그대로 이어지며 이 갈등은 미국이 남북으로 갈라지는 남북전쟁이 벌어집니다.